목록Study/디지털논리회로 (12)
Kraklog

1. 덧셈연산 10진수뿐만 아니라 다른 진수의 덧셈에서도 자리 올림이 발생한다. 10진수와 마찬가지로 각 진수에서도 각 자릿수에서 기수가 될 때 자리 올림이 발생한다. 이때 자리 올림을 Carry(캐리)라고 한다. 2진수 2진수 합에서 맨 앞자리 1+1 의 합에서 캐리가 발생했기에 자릿수가 올라가며 101 (2) 의 값을 얻게 되었다. 8진수 8진수 16진수의 합도 이와 같은데 37(8)+46(8)의 값을 해준다면 일의 자리의 합은 13 이므로, 5가 남고 캐리가 발생한다. 다음 자리의 합은 3+4+1이 되는데, 8진수는 0~7까지 표현이 가능하므로 다시 캐리가 발생하며, 105(8)의 값을 얻을 수 있다. 16진수 16진수 덧셈은 다음과 같다 16진수 덧셈은 가산의 합이 16이면 자리 올림이 발생하며,..

1. 10진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표현법으로 0~9까지 기호로 표현한다. Decimal number라고 하며, 주로 Dec로 표현한다. 10진수는 0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한 자리씩 이동하면 10의 n승의 자릿수를 나타내며 좌측으로 이동할 시 음의 자릿수를 나타낸다. 10,000 1,000 100 10 0 0.1 0.01 0.001 0.0001 543.21 를 10진수로 나타낸다면 543.21 = 5 * 100 + 4 * 10 + 3*1 +2 * 0.1 + 1 * 0.1로 표현이 가능하다. 2. 2진수 2진수는 기수(Radix Base)가 2인 진법으로 0과 1을 이용해 표현한다.( 물론 A와 B 문자 두개를 이용해 표현 할 수도 있다.) 2진수에서 11은 십일이 아닌 10진수의 3을 의미하는데 10진수와..

1. 펄스파형 아날로그 파형은 Sine(사인)파형과 Cosine(코사인) 파형들의 조합으로 분석되지만, 디지털 파형은 High 상태와 Low 상태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pulse 파형으로 구성된다. Pulse 파형 펄스 파형은 디지털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하다. 디지털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파형은 일련의 펄스로 구성되고, 주기 펄스 (Periodic Pulse)와 비주기 펄스 (Non Periodic Pulse)로 구분되는데 주기 펄스는 High 와 Low가 일정 구간으로 반복되는 파형이고 비주기 파형은 그렇지 않다. Ideal Pulse 이상적인 주기 펄스 파에서는 Rising Edge , Falling Edge 로 구성되어있는데 Rising Edge는 상승엣지 혹은 Leading Edge(리딩엣지..

1. 표현 단위 디지털 정보의 단위로는 bit, byte 등의 단위들이 있다. 이때 최소 단위는 bit(비트)이다. 비트는 10진수에서 digit에 해당하는데 10진수는 한 자리 숫자가 10가지 수를 의미하지만 (0~9) 한 비트는 0과 1 2가지를 표기가 가능하다. 컴퓨터의 정보를 나타냄에 있어서 0V : 0 , 5V : 1로 치환이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두 가지 상태의 정보를 표현이 가능하다. 비트 1개는 단순히 2가지 상태만 저장이 가능하며 (1bit - 0 , 1 ) 비트 2개는 4가지 (00, 01, 10 , 11 - 2²개) 비트 3개는 8가지 (000 ... 111 - 2³개) 의 상태를 저장이 가능하다. 컴퓨터에서는 보통 비트 8개를 한 단위로 쓰이는데 이를 1byte라고 한다. 이때 단순히..

1.디지털 신호, 아날로그 신호 아날로그 신호는 물리적인 양(온도,습도,소리,빛 등)을 전기/전자적으로 측정하여 신호를 측정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값을 갖는다. 이에 반해 디지털 신호는 두 레벨의 구별되는 신호값만을 갖는다. 2.디지털 시스템 , 아날로그 시스템 아날로그 시스템은 연속적인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여 연속적인 형태의 정보를 출력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디지털 시스템은 이산적인 정보를 가공/처리 하여 이산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모든 형태의 시스템을 말한다. -디지털 시스템의 장점 디지털 시스템은 내 외부 잡음에 강함. 설계하기가 용이함 프로그래밍으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어서 사양 변경 등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며, 개발 기간 단축이 가능 정보를 저장하거나 가공하기 용이 전체 시스템 구성을 소..